mysqldump는 MySQL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하고 복원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기존의 백업 명령어에 대한 설명을 확장하여 추가적인 옵션과 사용 예시를 제공하겠습니다.

 

기본 백업 명령어

mysqldump -u [사용자명] -p[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명] > backup.sql

 

  • -u [사용자명]: MySQL 사용자명을 지정합니다.
  • -p[비밀번호]: MySQL 사용자 비밀번호를 지정합니다. 비밀번호와 -p 사이에 공백이 없어야 합니다.
  • [데이터베이스명]: 백업하려는 데이터베이스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 backup.sql: 백업 파일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원격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백업

원격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하려면 -h 옵션을 사용하여 호스트를 지정합니다.

mysqldump -h [호스트주소] -u [사용자명] -p[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명] > backup.sql

 

 

  • -h [호스트주소]: 원격 서버의 IP 주소나 도메인명을 지정합니다.

 

포트 지정 및 원격 백업

MySQL 서버가 기본 포트(3306)가 아닌 다른 포트를 사용할 경우 -P 옵션으로 포트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mysqldump -h [호스트주소] -P [포트번호] -u [사용자명] -p[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명] > backup.sql

 

  • -P [포트번호]: MySQL 서버의 포트 번호를 지정합니다.

 

특정 테이블만 백업하기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테이블만 백업하려면 테이블 이름을 명시합니다.

mysqldump -u [사용자명] -p[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명] [테이블명1] [테이블명2] > backup_tables.sql

 

 

모든 데이터베이스 백업하기

MySQL 서버의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하려면 --all-databases 옵션을 사용합니다.

mysqldump -u [사용자명] -p[비밀번호] --all-databases > all_databases_backup.sql

 

 

백업 시 트리거, 이벤트, 저장 프로시저 포함하기

백업 시 트리거, 이벤트, 저장 프로시저 등을 포함하려면 다음과 같은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mysqldump -u [사용자명] -p[비밀번호] --routines --triggers --events [데이터베이스명] > full_backup.sql

 

 

  • --routines: 저장 프로시저와 함수를 포함합니다.
  • --triggers: 트리거를 포함합니다.
  • --events: 이벤트를 포함합니다.

 

백업 파일 압축하기

백업 파일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gzip을 사용하여 압축할 수 있습니다.

mysqldump -u [사용자명] -p[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명] | gzip > backup.sql.gz

 

 

 

백업 복원하기

백업한 .sql 파일을 복원하려면 mysql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mysql -u [사용자명] -p[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명] < backup.sql

 

압축된 백업 파일을 복원하려면 gunzip을 사용하여 압축을 해제한 후 복원합니다.

gunzip < backup.sql.gz | mysql -u [사용자명] -p[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명]

 

 

'개발 >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split 구현  (0) 2017.02.20
[MySQL] FK 설정  (0) 2017.02.20

2013년 첫 스마트폰을 만난 후 2020년까지 Chrome을 주 브라우저로 사용해 왔다. PC에 설치한 Chrome과 스마트폰 Chrome 간 북마크가 동기화되어 유용했기 때문이다. 최근에 스마트폰 상태가 안 좋아서 공장초기화를 하였는데, 크롬에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어 있었다. 그 기능은 '탭 그룹화'로, 페이지에서 [새 페이지 열기]를 하였을 때 그룹으로 묶여서 새로운 페이지가 열리곤 했다. 페이지 하단에는 그룹 내 페이지들이 동그란 아이콘처럼 나열되어 있었다.

 

기존의 위 · 아래 드래그형 나열식에 익숙했던 방식과는 달랐기에 해당 기능이 무엇인 지 찾아보았다.

요약하자면,

"Chrome의 고질적인 문제는 '탭 별 메모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페이지 그룹화를 하였다."

라고 되어 있었다.

 

그룹화 기능을 해제하고자 크롬 내부 설정 메뉴에 들어가 보았는데, 해당 기능에 대한 옵션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래서 Chrome flags 설정 페이지를 들어가 보았다.

 

1.

주소창에

chrome://flags

라고 치면 크롬 브라우저 flags 설정 페이지가 열리게 된다. 빨간색으로 경고가 되어 있고,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보안이 악화되거나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도 있습니다." 라고 적혀있다.

 

2. 

활성화 된 tab만 보기 위해 "enable-tab"이라고 검색하면 탭 그룹과 관련된 설정들이 나온다.

 

3. 

아래의 설정들을 [Default]에서 [Disable]로 바꿔준다.

 ● Tab Grid Layout

 ● Tab Groups

 ● Tab Groups Continuation

 ● Tab Groups UI Improvements

 ● Tab switcher on return

 ● Enable Tab-to-GTS Animaion

 

4. 

하단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코멘트가 나온다. [Relaunch]를 눌러주면 크롬이 꺼졌다가 다시 켜진다.

 

5. 

탭 그룹화가 아닌, 예전에 쓰던 방식의 UI로 변경된다.

 

 


여기 아래 부터는 스크린샷 설명들입니다.

 

<Chrome 실행 화면>

탭을 클릭하자 기존의 방식과 다른 형태의 페이지 나열이 보인다.

<Chrome에서 새 페이지 열기 화면>

Chrome에서 새 페이지를 열면 그룹으로 열기로 나온다.

 

<Chrome 하단 아이콘>

기존에는 없던, 페이지 하단 부분에 동그라미 아이콘이 있는데 해당 아이콘들은 그룹 내 페이지들을 보여주고 있다.

<Chrome 그룹화>

새 페이지를 그룹으로 열면 그룹 내에 페이지가 생긴다.

<Chrome flags 설정 페이지>

 

<enable-tab 검색>

<[Default]에서 [Disabled]로 변경>

<[Relaunch] 클릭>

<재시작 된 Chrome>

 

The End。

디자인을 하다 보면 요구되는 픽셀 크기와 다르게 만들어질 때가 있다. (전문 디자이너가 아니다 보니..;;)

디자인 생성 후 크기 조정이 필요한 경우, 본인은 윈도우에서 제공되는 기본 툴인 '그림판'을 사용한다.

 

How to '그림판으로 이미지 크기 조절'

1. 그림판에 이미지를 Paste 붙여넣기 해 준다.

([파일] - [속성]을 통해 보면 해당 이미지의 크기는 300x300이다.)

2. [홈] - [이미지] - [크기 조정] 을 클릭한다.

3. [크기 조정] 에서 기준을 픽셀로 선택하고, [가로 세로 비율 유지]를 체크 해제 한 후, 원하는 사이즈를 적어준다.

(App Design에서 대부분의 아이콘은 500x500 픽셀을 요구한다)

4. 이미지의 크기가 조정되어 있다.

5. 이미지의 크기가 잘 조정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면? [파일] - [속성] 클릭한다.

6. 이미지 속성에서 너비와 높이를 통해 해당 이미지의 크기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미지 크기 조정이 필요한 경우 유용하면서 가벼운 방법인 거 같다.

1. VSCode의 좌측 메뉴의 5번째 Extensions를 선택합니다.

2. korea로 검색하여 "Korea Language Pack for Visual Studio Code"를 선택합니다.

3. Install합니다.

설치 완료 후 재시작하면 한글이 적용됩니다.

 

요즘 사용하고 있는 앱 입니다.

애플리케이션 중에는 무료 앱과 유료 앱이 있는데, 가끔 유료 앱들이 할인을 해서 저렴하게 사거나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게 이벤트를 열곤 하지요.

그러한 앱들을 알려주는 어플리케이션도 존재합니다. 그런데 그러한 앱들은 외국 앱들도 많이 떠서 우리나라에 맞지 않는 것도 자주 리스트업 되곤 해서 아쉬울 때가 있었어요.

그러던 중 찾은 애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AppDi

App Discount? 의 약자가 아닐 까 생각됩니다.

앱의 실행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 앱 실행화면 >

 

해당 앱의 UI는 단순합니다. '지금 무료' 페이지와 '할인 앱' 두 개의 페이지입니다.

< '지금 무료' 페이지 >

 

< '할인 앱' 페이지 >

 

우측 상단에 세 개의 바를 누르면 '메뉴' 가 뜹니다. 그 페이지에는 '할인 앱'과 '카테고리 설정'이 뜹니다.

< 메뉴 >


'할인 앱'은 위에서 본 할인 중인 페이지가 뜹니다.
'카테고리 설정'은 표시될 앱의 카테고리 설정이 가능한 페이지가 뜹니다.

카테고리는 크게 '앱', '게임', '키즈' 세 개로 나뉩니다.

'앱'은 건강/운동, 교육 등 32개의 분류가 들어가 있습니다.

< 앱 카테고리 화면 >

 

'게임'은 교육, 롤플레잉 등 17개의 분류가 있습니다.

< 게임 카테고리 화면 >
< 게임 카테고리 화면 >

 

'키즈'는 교육, 두뇌게임 등 6개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 키즈 카테고리 화면 >

 

앱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앱에서 요구하는 권한은
• 네트워크 액세스
• 네트워크 연결 보기
단 두 개 입니다.

 

이 앱의 장점
1. 국내 앱만 나와 있어서 국가로 인한 사용 제약이 없다.
2. UI가 깔끔하다.
3. 요구하는 권한이 최소한이다.
4. 타 앱에서 안 보이는 앱들도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 앱의 단점
1. 아직은 잘 모르겠다.

 

해당 앱의 개발자는 최소한의 권한을 요구하며 서비스를 만족스럽게 제공해서 마음에 그는 개발자 였습니다. 해당 앱도 그러하여 꽤 만족스럽습니다.

'앱 할인정보 리포트 앱'으로 추천합니다.

※ 앱 스크린 샷에 나오는 무료 앱들은 작성일자인 2020년 2월 1일에 할인중이던 앱들입니다.

+ Recent posts